학습 영상 말하기와 글쓰기 017 @ 문화 사대주의 @ 이*호(중3) @ 2025-03-28 @ VIC연구소 @ 통합 @ CS-Academy
2025.03.28
조회 255회
본문
문화 사대주의는 어떤 사람에겐 익숙하고 어떤 사람에게는 낯 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사대주의란 말이 어렵게 느껴지지만 익숙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유는 요즘 한국의 정치적 모습이나 언어생활 혹은 그냥 생활에서 문화 사대주의의 모습이 보인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왜 한국인들을 문화사대주의라고 할까라는 궁금증을 갖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저는 그런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문화사대주의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문화사대주의가 무엇인지 알아보면 문화사대주의는 선진국이나 강대국의 문화 특히 정치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을 우월하다고 생각하며 자신들의 문화 혹은 선진국이나 강대국이 아닌 다른 문화를 열등하다고 생각해서 강대국의 문화를 본받고 추종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제 문화 사대주의가 무엇인지 알았으니 한국이 왜 문화 사대주의라고 불리는지 알아보면 우선 한국의 언어생활을 그 이유중 하나로 들수있을것같습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해도 되는 상황에서 굳이 영어를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리고 가게 이름을 정할 때나 다른 이름을 정할 때에도 한국어를 사용해도 되지만 꼭 영어를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영어를 사용하는 이유를 물어보면 대부분은 멋있어서 또는 세렴되어 보이기 때문에라고 답합니다. 그리고 문화사대주의라고 불리는 또 다른 이유는 요즘 한국의 정치적인 문제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지금 한국은 요러가지 문제가 일어나고 있지만 나라의 대표에 대해서 여러 말이 많습니다. 이런 복잡한 상황속 의견도 여러가지이고 주장도 여러가지이기에 대모나 시위가 일어날 수 있고 현재 그런 상화인데 이렇게 시위를 하는 와중에 분명 한국에 관한 내용인데 성조기가 보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런 한국 정치와 관련된 시위에 성조기가 보이는 것을 보고 문화사대주의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으로 볼때 어떻게보면 정말 문화사대주의처럼 보이는 것같습니다. 위와같은 상황에서는 뭄화사대주의를 약간의 비난의 표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문화사대주의가 나쁘다고 보지만은 않습니다. 문화사대주의의 강도만 줄인다면 괜찮은 국력을 보강하는 방법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강도를 줄여 강대국을 우월하게생각하지만 우리나 다른 문화를 열등하게 생각하지 않고 강대국을 어느 종도 모방해 그들의 좋은 것을 얻어내지만 추종하지 않는다면 나라를 강하게 만들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해지면 않좋은 상황이 이어지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옛말 중 과유불급이란 말이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떠 이런 부분에서 옛말은 우리삶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는것같습니다. 또 하나의 깨달음으로는 문화사대주의의 이미지가 안좋다고 해서 다 나쁘게 보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항상 다른 사람의 의견에대해서도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