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영상 글쓰기와 말하기 035 @ 진대법과 흉년 @ 2025-02-14 @ 박*완(중1) @ VIC연구소 @ 통합
2025.02.14
조회 384회
본문
[선택 이유]
이런 흉년이 들었을 때에는 백성들이 굶기도 하였을 것이고 또한 나라입장에서3ㅗ 피해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이런 방법들을 잘 이용하여서
흉년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이에 대한 방법이 진대법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진대법에 대해 더욱 깊게 해보고 싶었습니다
[글쓰기]
진대법과 흉년 진대법은 고구려의 고국천왕 16년에 시행된 사회 구제 제도입니다. 이 진대법의 역할은 흉년이나 춘궁기에 국가가 가난한 백성들ㅇ르 위해서 양곡을 빌려주고 다시 가을 수확기에 낮은 이자를 통해 갚게 한 제도입니다. 이처럼 진대법을 사용하려고 하느 고국천왕이 정말 굉장히 존경스럽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왜냐하면 이런 진대법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백성들이 흉년에 더더욱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또한 귀족들이 가난한 백성들을 이용하거나 하는 일들을 줄임과 동시에 왕권까지 강화를 하였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백성들이 이 고국천왕이 왕이었을 시기에 굉장히 나라가 많이 발전하였을것 같다고 생각이 많이 드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런식으로 나라가 발전함으로써 조선의 환곡 제도로 진대법이 계승이 되어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빈민 구제 제도의 기초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식으로 흉년이 오게 된다면 곡식이 매우 적게 나오게 되고 또한 이런 곡식이 적기 때문에 사람들도 먹을 음식이 부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곡식이나 다른 음식들을 이런 흉년에 먹을 수 있도록 항상 대비를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또한 양반이나 귀족들은 이틈을 타서 가난한 백성들을 부려먹거나하는 일들도 몇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백성들의 이런 가난한 삶을 해결하고자 하는 왕이 굉장히 좋은 왕이라고 생각을 하였던 것 같습니다. 또한 반대로 보자면 이런것이 한편으로는 왕으로써는 당연하게 가져야 하는 하나의 뜻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서 이런식으로 항상 가난한 사람들을 배려하거나 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이런식으로 만흔 사람들이 대부분 힘들어하고 또한 더욱 많은 사람들이 귀족들에게 의지하기도 할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던 것 같고 또한 이런식으로 많은사람들이 굉장히 피해를 볼 것이라서 이런식의 하나의 제도가 어떻게 보면 굉장히 좋은 제도일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 같고 또한 이런 다양한 방법들중 진대법의 하나의 방법이 굉장히 좋은 방법이라고도 생각이 들었던 부분인것 같습니다. 또한 이런식의 다양한 사람들이 있는데 요즘에도 어떻게 보면 이런 흉년이나 이런 식량이 부족한 일들이 잘 일어나지는 않지만 한편으로 일어나게 된다면 굉장히 위험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런식의 ㄷ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또한 이런 흉년이나 식량이 부족한 상황에 대비하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by 박유완